BlogHide Resteemsbuddhism.qna (60)in buddha • last year■ 한국 불교 문화재 0086 - 군산 발산리 석등 (群山 鉢山里 石燈)[이미지 발췌 :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주소 : 전북 군산시 개정면 바르메길 43 (발산리) 고려 전기 10세기경으로 추정되는 이 석등은 일제가 완주지역에 세워져 있던 석등을 지금의 자리로 옮긴 후 계속 자리잡고 있습니다. 받침 가운데기둥 사각 네 모서리를 둥글게 깎아 두었는데 우리나라에서는 하나밖에 없는 독특한 형태이기도 합니다.…buddhism.qna (60)in buddha • last year■ 한국 불교 문화재 0085 - 여주 신륵사 보제존자석종비 (驪州 神勒寺 普濟尊者石鍾碑)[이미지 발췌 :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주소 : 경기도 여주시 신륵사길 73 (천송동, 신륵사) / (지번)경기 여주시 천송동 산113-1 보제존자 나옹의 탑비입니다. 보제존자 나옹은 선종과 교종을 통합하여 불교를 다시 일으켜 세우려 하였던 승려이기도 합니다. 그가 신륵사에 입적하며 고려 우왕 때 (1379년) 세워진 비석입니다.buddhism.qna (60)in buddha • last year■ 한국 불교 문화재 0084 - 영주 북지리 석조여래좌상(1963-2) (榮州 北枝里 石造如來坐像(1963-2))[이미지 발췌 :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이전 포스팅에 올린 석조여래좌상과 동일한 조각가에 의하여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되는 좌상입니다. (서쪽 여래상이 동쪽 여래상보다 선이 더 부드러운 편이라고 합니다) 비로자나불상이니만큼 단아하면서도 인간적인 형태를 보이고 있습니다.buddhism.qna (60)in buddha • last year■ 한국 불교 문화재 0083 - 영주 북지리 석조여래좌상(1963-1) (榮州 北枝里 石造如來坐像(1963-1))[이미지 발췌 :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주소 : 경북 영주시 부석면 북지리 141 부석사 9세기 후반에 유행하던 비로자나불상입니다. 두 손은 없어졌지만 두 팔이 가슴쪽으로 올라가 있고 왼손 검지를 오른손으로 감싸 쥔 손모양을 하고 있어 비로자나불의 모습을 형상화했다고 보는 것입니다. 당대 불교사상의 특징과 불상양식의 특징을 나타내는…buddhism.qna (60)in buddha • last year■ 한국 불교 문화재 0082 - 청도 운문사 동호 (淸道 雲門寺 銅壺)[이미지 발췌 :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주소 : 경북 청도군 운문면 운문사길 264, 운문사 (신원리) 감로준(甘露樽)이란 이름으로 사찰의 불교 용기였다고 추측되는 검은 항아리입니다. 6장의 연꽃잎이 있어 불교 문화재임을 더 확실히 알 수 있기도 합니다. 불꽃 모양은 손잡이는 통일 신라 말에서 고려 시대에 걸쳐 만든, 스님의…buddhism.qna (60)in buddha • last year■ 한국 불교 문화재 0081 - 묘법연화경찬술 권1~2 (妙法蓮華經纘述 卷一~二)[이미지 발췌 :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주소 : 전남 순천시 송광면 송광사안길 100, 송광사 (신평리) 당나라 혜정(慧淨)의 법화경 주석서 10권 중 권 제1, 2를 하나의 책으로 묶어 나무에 새긴 후 닥종이에 찍었낸 것이라 합니다. 보관 상태는 좋지 않지만 고려 헌종 1년(1095)에 남궁예가 글을 써 처음 간행한 이후로 조선…buddhism.qna (60)in buddha • last year■ 한국 불교 문화재 0080 - 묘법연화경관세음보살보문품삼현원찬과문 (妙法蓮華經觀世音菩薩普門品三玄圓贊科文)[이미지 발췌 :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주소 : 전남 순천시 송광면 송광사안길 100, 송광사 (신평리) 보문품은 법화경의 한 부분으로 관세음보살이 중생의 구제에 관한 이야기입니다. 이 관세음보살보문품을 송나라 사효(思孝)가 알기 쉽게 풀이하여 쓴 내용입니다. 조선 세조 7년(1461)에 불경을 한글로 풀이하고 간행키 위해 설치한…buddhism.qna (60)in buddha • last year■ 한국 불교 문화재 0079 - 경주 남산 탑곡 마애불상군 (慶州 南山 塔谷 磨崖佛像群)[이미지 발췌 :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주소 : 경북 경주시 배반동 산72, 산79 남쪽의 큰 바위에는 목조건물의 흔적이 남아 있는 것으로 보아 통일신라시대에 신인사라는 절이 있었던 곳임을 알 수 있습니다. 여기 9m나 되는 사각형의 커다란 바위에 여러 불상을 회화적으로 묘사한 것입니다. 불상·비천·보살·승려·탑 등 다양한 모습들을…buddhism.qna (60)in buddha • last year■ 한국 불교 문화재 0078 - 문경 봉암사 정진대사탑비 (聞慶 鳳巖寺 靜眞大師塔碑)[이미지 발췌 :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주소 : 경북 문경시 가은읍 원북리 481-2번지 봉암사 봉암사에 있는 고려전기의 탑비로서 봉암사를 중흥한 정진대사(878∼956)의 것입니다. 정진대사는 통일신라 말에서 고려 초에 활약한 승려이기도 합니다. 조형은 간략하고 조각 기법 또한 퇴화된 측면이 있습니다. 비문은 당대의 문장가…buddhism.qna (60)in buddha • last year■ 한국 불교 문화재 0077 - 문경 봉암사 정진대사탑 (聞慶 鳳巖寺 靜眞大師塔)[이미지 발췌 :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주소 : 경북 문경시 가은읍 원북리 산1-1번지 봉암사 오늘은 경북 문경 봉암사에 있는 정진대사 긍양의 사리탑입니다. 자리 잡고 있는 위치를 보면 신중히 경승지를 택해 조성하였다고 추정됩니다. 탑신의 기단 곳곳에 꽃무늬조각과 구름·용·연꽃무늬 등의 장식이 화려합니다만, 예술적 측면에서…buddhism.qna (60)in buddha • last year■ 한국 불교 문화재 0076 - 화순 쌍봉사 철감선사탑비 (和順 雙峯寺 澈鑒禪師塔碑)[이미지 발췌 :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주소 : 전남 화순군 이양면 증리 산195-1번지 쌍봉사 몸돌이 없어지고 거북받침과 머릿돌만 남아 탑처럼 보이지 않지만 신라 하대 때 고승 철감선사(澈鑒禪師) 도윤(道允, 798-868)의 탑비(塔碑)입니다. '쌍봉산고철감선사비명(雙峯山故澈鑒禪師碑銘)'이란 글이 새겨져 있는 것으로 보아 탑비의…buddhism.qna (60)in buddha • last year■ 한국 불교 문화재 0075 - 공주 중동 석조 (公州 中洞 石槽)[이미지 발췌 :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주소 : 충남 공주시 관광단지길 34, 국립공주박물관 (웅진동) 연꽃을 담아 장식한 백제시대 석조로 원래는 공주시 대통사 터에 있었다고 합니다. 하지만 일제시대(1940년)에 일본군이 말구유로 쓰기 위해 지금의 자리로 옮겨두어 중동초등학교에서 보관하여 ‘중동석조’라 부르기 시작했다고 합니다.…buddhism.qna (60)in buddha • last year■ 한국 불교 문화재 0074 - 문경 봉암사 지증대사탑 (聞慶 鳳巖寺 智證大師塔)[이미지 발췌 :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주소 : 경북 문경시 가은읍 원북길 313, 봉암사 (원북리) 이 절을 창건한 지증대사(824∼88)의 사리를 모신 탑입니다. 밑 단에는 각 면마다 사자를 도드라지게 조각하였고, 윗단 테두리 부분을 구름무늬로 가득 채워 두툼하게 하였습니다. 지붕돌은 8각이며 일부분이 부서져 있으나 각 부분의…buddhism.qna (60)in buddha • last year■ 한국 불교 문화재 0073 - 순천 송광사 경질 (順天 松廣寺 經帙)[이미지 발췌 :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주소 : 전남 순천시 송광면 송광사안길 100, 송광사 (신평리) 국내 유일의 희귀 불교문화재입니다. 두루마리 형태의 경전을 보관하기 위해 만든 불교 공예품이며, 가느다란 대나무 조각을 색실로 엮고, 끝단에는 삼각형 비단을 붙인 후 끈을 달아 경전을 말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손상이 심한…buddhism.qna (60)in buddha • last year■ 한국 불교 문화재 0072 - 구례 화엄사 서 오층석탑 (求禮 華嚴寺 西 五層石塔)[이미지 발췌 :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주소 : 전남 구례군 마산면 화엄사로 539, 화엄사 (황전리) / (지번)전남 구례군 마산면 황전리 12 화엄사 구례 화엄사와 오층석탑 모두 유명하죠. 대웅전 앞에 동·서로 서 있는 쌍탑 중 서쪽 탑을 소개합니다. (신기하게도 동탑이 아무 조각이 없으나 서탑에는 조각과 장식이 가득합니다.)…buddhism.qna (60)in buddha • last year■ 한국 불교 문화재 0071 - 부여 보광사지 대보광선사비 (扶餘 普光寺址 大普光禪寺碑)[이미지 발췌 :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주소 : 충남 부여군 부여읍 금성로 5, 국립부여박물관 (동남리 보광사(普光寺)의 중창을 기념하여 건립한 비석입니다. 중창을 주도한 원명국사(圓明國師) 충감(沖鑑 : 1275~1339)의 행적과 중창 과정을 기록해 두었다고 합니다. 비문에 적혀있는 바로는 원명국사가 19세에 등과하여 선원사에서…buddhism.qna (60)in buddha • last year■ 한국 불교 문화재 0070 - 서산 보원사지 법인국사탑 (瑞山 普願寺址 法印國師塔)[이미지 발췌 :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주소 : 충남 서산시 운산면 용현리 119-2번지 사리탑(탑)은 사리를 넣어두는 탑신(塔身)을 중심으로 기단부(基壇部)를 쌓고 위에 머리장식을 얹어둡니다. 보원사(普願寺)에 자리잡은 이 사리탑으로 법인국사9신라 말과 고려 초에 활약한 유명한 승려) 탄문(坦文)의 사리를 모셔놓고 있습니다.다.…buddhism.qna (60)in buddha • last year■ 한국 불교 문화재 0069 - 대반열반경소 권9~10 (大般涅槃經疏 券九~十)[이미지 발췌 :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주소 : 전남 순천시 송광면 송광사안길 100, 송광사 (신평리) 교육적 목적을 포함해 부처님의 열반을 다루고 있는 경전입니다. 담무참(曇無嘴)이 번역한 대반열반경에 당나라 법보(法寶)가 주석을 붙이기도 합니다. 지금으로 치면 국가에서 운영한 간경도감에서 간행했기 때문에 원판 못지않게 정성들여…buddhism.qna (60)in buddha • last year■ 한국 불교 문화재 0068 - 경주 망덕사지 당간지주 (慶州 望德寺址 幢竿支柱)[이미지 발췌 :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주소 : 경북 경주시 배반동 964-2번지 생소할 수 있는 '당간(幢竿)'은 사찰에서 불교의식이 있을 때 당(幢)이라는 기를 달던 깃대를 말합니다. 그러니 당간지주는 당간을 양쪽에서 지탱시켜주는 두 돌기둥을 말하는 것이죠. 이 당간지주는 망덕사터 서쪽에 서로를 65㎝ 간격으로 마주보고 서…buddhism.qna (60)in buddha • last year■ 한국 불교 문화재 0067 - 경주 황남동 효자 손시양 정려비 (慶州 皇南洞 孝子 孫時揚 旌閭碑)[이미지 발췌 :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주소 : 경북 경주시 황남동 240-3번지 정려비란 충신, 효자, 열녀 등을 기리고자고을에 세운 비입니다. 경주 황남동 효자 손시양 정려비는 고려 때 손시양의 효행을 표창하는 정문(旌門)을 설치하게 된 내력을 적고 있습니다. 부모가 돌아가신 뒤 3년 씩 묘소 옆에 막을 지어놓고 곁을 지켰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