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y Analysis Steemit.com] Analysis of Steemit, 스팀잇의 눈부신발전 분석(Similar Web Analysis), Steemit.comを分析してみました。

in coinkorea •  7 years ago  (edited)

12223.jpg

스팀잇분석(Steemit.com Analysis by Similar Web Tool) / https://www.similarweb.com/


s1.JPG

미국이 본사인 세계적인 명성의 시밀러웹의 분석툴을 이용해서 스팀잇의 현재 글로벌 랭킹을 비롯해 기본적인 분석을 한번 해보았습니다.

  • 스팀잇의 전체 웹순위:2415위
  • 미국에서의 순위: 1713위
  • 뉴스 & 미디어 카테고리에서 순위: 352위

최근에 스팀잇이 더욱더 주목받고 유저도 늘어나고 있어 점점더 스팀의 가치상승에도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참고적으로 알렉사에서는 1144위, 미국내 순위 551위로 시밀러웹보다 훨씬 더 좋은 점수를 받고 있습니다. 제가 알고 있기로 알렉사나 시밀러웹같은 기본데이터 분석 및 비교툴의 경우 일정 오차범위가 약 30%정도로 알고 있습니다. 즉 100만 PV가 있다면 실제 70-130PV정도로 봐야 한다는 이야기입니다.

개인의 취향의 차이와 익숙함에 따라서도 달라지겠지만 일반적으로 similiar Web이 좀더 전문적이고 마켓의 인사이트를 파악하기 위한 마케터들이 사용한다면 전체적인 이해와 데이터 추출에는 Alexa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고 합니다.

12.JPG

트래픽개요(Traffic Overview)


s2.JPG

지난 6개월간 방문자 통계를 살펴보니 월평균 3400만접속의 의미로 실제 방문객은 이보다 적다고 이해하시면
될것 같습니다. 평균적으로 약 5분간 머물며 3.3페이지를 열람하는것으로 보입니다. 또한 바운스레이트의 경우 약 60%정도이네요. 바운스레이트는 다른말로 이탈률을 의미하는데요. 사이트 방문과 동시에 이탈해버린다는 것은 무슨 연휴이던간에 사이트에 머무는 것보다는 좋지 않으므로 이탈율은 통상 낮은것이 좋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좀더 이탈율을 낮추게 되면 체류시간과 평균페이지뷰등도 상승하게 될 것이므로 훨씬더 스팀잇활성화에 좋다고 볼 수 있겠죠.

국가별 트래픽(Traffic by Countries)


s3.JPG

현재 국가별 스팀잇 접속트래픽을 살펴보면 미국이 단연 1위로 약 30%의 스팀잇유저는 미국인으로 보면 될것같습니다. 그 뒤로 영국과 한국이 뒤를 잇고 있구요. 4위로는 인도로 4%, 5위는 독일로 약 3%정도 수준입니다. 약 5개국이 46.71%정도로 전체트래픽의 50% 조금 안되는 비율로 스팀잇을 리드하고 있다고 보면 될 것 같습니다. 일본에서 제
생각으로 약 8%정도 나와주면 스팀잇에 대한 상장효과와 인지도 상승, 투자효과를 보며 현재가격의 1.5배정도 상승요인이 생길 것으로 짐작하고 있습니다.

실제 일본커뮤니티의 발전이 이루어지면 하락장속에서도 잘 참으며 견뎌내는 힘이 강해질것으로도 보여 여러모로 일본커뮤니티가 한국의 뒤를 이어 나와주었으면 하는데 독일이 현재 4위로 추이하고 있다는 점은 일본에서도 충분히 스팀잇이 퍼져나갈 수 있다고 생각됩니다.

그런의미에서 아직은 실현되지 않았지만 일본에서만큼 우선 #1 사이트가 되면 좋겠습니다. 희망을 담아 similar web메인 페이지 캡쳐화면에 스팀잇로고를 넣어보았습니다.

similiar1.JPG

트랙픽소스(Traffic Source)



s4.JPG

약 50%정도는 검색으로 나머지 20%는 다이렉트접속으로 스팀잇을 방문하고 있네요. 스팀잇글이 검색에 약하다고 해도 차별화된 가상화폐관련 정보가 많이 있어서 그런지 의외로 검색도 많네요. 추가로 SNS로 접속이 아직 10%가 안되고 있는 것 같습니다. 저는 제 개인 트위터를 공식 일본 스팀잇 커뮤니티 서퍼트 어카운트로 기증하여 현재 제가 봉사활동을 하고 있는데요. 다음과 같이 운용하고 있습니다.

  • 스팀잇일본커뮤니티 공식안내 트윗
  • 스팀잇일본멤버의 좋은포스팅 트윗
  • 가상화폐관련소식 트윗
    -> 모두 목적은 SNS를 이용해 스팀잇을 자연스럽게 접하게 하고 알리고자 트윗을 하고 있답니다. 아래표를 보면 페이스북으로부터의 스팀잇 접속이 SNS중에서는 가장 많은데요. 일본은 트윗이 워낙강한 나라라 저는 트위터를 하지만 여러분은 페북이나 링크드인을 이용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전 트윗을 잘하기 위해 일본의 트위터 본사에서 세미나까지 받고 왔답니다. 세미나내용에 대한 포스팅은 금지되어 있어 별도록 하지 않지만 많은 것을 배울 수 있는 좋은 기회였습니다. 스팀잇을 열심히하면 회사일에도 도움이 된답니다. ㅋㅋ

2018-01-16 14.56.45.jpg

레퍼럴사이트정보(Referrals & Destination Info)



s5.JPG

추가로 검색과 직접입력 SNS를 통해서 방문한 사람을 제외한 레퍼럴부분에 해당되는 약 9%유저에 대한 분석입니다. 아시다시피 스팀과 뗄래야 뗄수 없는 동반자 EOS.Io로부터 전체 레퍼럴중 약15%에 해당되는 유저가 스팀잇에 방문하였습니다. 다음은 bitcointalk.org로 파악되었네요. 태그별로 봐도 비트코인관련이슈는 가상화폐업계에서는 빠질수 없으므로 그만큼 스팀잇도 비트코인등에 영향을 끼치고 있고 받고 있다고 보면 될 것 같습니다.

다음은 스팀잇을 통해서 타 사이트로 가는 동선을 살펴보았는데요. 코인관련 툴사이트 coingy.com과 가상통화하면서 방문하지 않은 사람이 없을정도로 유명한 coinmarketcap.com과 같은 사이트로 스팀잇을 통해 많이 방문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검색(Search)



s6.JPG

54.88% 가 steemit이라는 키워드를 통해 방문하고 있구요. 검색관련해서는 별다른 광고를 하고 있지 않고 있어 모두 오거닉검색으로 자연스럽게 찾아오는 유저가 대부분입니다.

SNS유입현황분석(SNS analysis)



s7.JPG

세계적으로 가장많이 사용하는 Facebook으로부터의 유입이 1위이며 그 뒤로 빠른 정보와 Opinion leader들이 사용하는 트위터가 2위이네요. 다음은 최근 동영상미디어가 주목받고 있는 만큼 유튜브가 나오는 것은 당연한 것이 아닌가 합니다.

그리고 레딧에서의 스팀잇은 상당히 인기가 있고 미국에서 유저확대에 상당히 기여했다고 생각되는데요. 역시 그 뿌리는 속일수없다고 Reddit에서의 유입도 상당합니다.

5위에 해당하는 쿼라는 사용자 커뮤니티에 의해 질문을 요청하고 질문에 답변하는 서비스로 미국을 중심으로 많이
사용되는 서비스입니다. 스팀잇의 특성상 질문이 많이 생기겠죠. 처음엔 인터페이스나 조금 어려운부분이 장벽으로 느껴지기도 했는데 어찌보면 좋은 필터링도 되지 않나 생각해봅니다. 그래도 개선할 부분은 계속 하드포크를 하며 개선이 이루어지면 좋겠습니다.

변하지 않는 플랫폼과 경제시스템은 지속할 수 없으니까요.

이용유저관심사(Audience interests)



s8.JPG

여러분들도 대강 예상하셨겠지만 스팀잇의 이용유져들은 아래사항에 관심이 많은 것으로 분석되었습니다. 관심분야에 정보를 알차게 준비해서 포스팅한다면 전세계유저로부터 주목을 받지 않을까요?

  • 파이낸스 및 투자
  • 쇼핑
  • 비지니스/산업관련
  • 뉴스 및 미디어

특히 태그분석을 해보니 Bitcoin, Busy, forum등이 주목을 받은것으로 보이는데 언젠가는 kr , japanese 태그나 나오면 얼마나 좋을까 상상해봅니다.

많은 도움이 되셨는지 모르겠습니다. 향후 전체적인 흐름은 스팀잇이 더욱더 유명해지고 확대되는것은 그리 큰문제는 아닌것 같이 보입니다. 사람이 많아질수록 컨텐츠에 대한 질과 양적인 경쟁은 더욱더 심해지겠지만 분명 우리가 추구하는 목적은 하나인것 같습니다. 사람인 이상 다른사람이 의식되고 비교되고 하지만 이건 자연스러운 현상이라 생각합니다. 긍정의 동기부여를 하는 중요한 요인이니까요. 단 스팀잇을 위해서 라면 이라는 개념을 조금이라도 생각한다면 아래와 같이 스팀잇 사이트가 될 날도 멀지 않아 보입니다.

전 10년이내에는 온다고 생각합니다.

steemit.JPG


@Steemitjp make an efforts to boost Steemit Community in Korea & Japan and to post with high quality article and resteem other great useful post for steemian. and also, I want to exchange great alliance ideas with world steemians.

If my post helpful for you and steemit, Follow me not to miss more exciting posts and special articles!

スティミットの活性化のため3ヵ国語でサーポト活動Newbie VOTE支援【アドバイザー】をしています。Resteem、VOTE, Commentお願い致します。

부족한 언어실력이지만 3개국어로 일본커뮤니티 엑셀러레이터(어드바이져)로 활동중입니다. 세계의 스티미언과 정보공유는 물론 멋진 교류를 기대해봅니다. 일본하면 @steemitjp 가 생각나는 사람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Thank you for all RESTEEM, UPVOTES and COMMENTS!


871801.jpg

Authors get paid when people like you upvote their post.
If you enjoyed what you read here, create your account today and start earning FREE STEEM!
Sort Order:  

Cheer Up!

  • from Clean STEEM activity supporter

좋은 글 감사합니다. 트래픽개요(Traffic Overview) 에서 3400만명은 6달간의 데이터가 아니라 저번달 데이터를 기준입니다. 즉 한달간 방문수입니다. visit(방문수)는 대략 session으로 볼 수 있으며, 제가 한달에 10번 들어가면 10번으로 카운팅되니 사용자수랑은 개념이 조금 다릅니다 :)

예 수정정보 감사합니다. 세션정보를 방문자로 이해했네요. 수정했습니다.

와우 스팀 더욱더 유명해지길 바래요 ^^

네 유명해지겠죠..점점더 많은 사람들이 일단 알게 되니까요..

이제 시작이라고 생각합니다.
페북, 인스타 뛰어 넘어야죠 ㅋ

예 이론적으로 글쓰면 나한테 이익이니 뛰어넘겠죠

ICT의 정석은 역시 트래픽 잡는 것에서 시작되나 봅니다 하하
리스팀하고 갑니다. 팔로우도 할게요 :)

리스팀 감사합니다..한번 궁금해서 살펴보았습니다. 최근 트래픽이 많이 올라가는것같아서요

약 2시간 전 steemian.com 공지에 유저 자동보팅 관련 이슈입니다.
관련글 주소

한번 살펴보겠습니다..

고맙습니다 :)

가면 갈수록 스팀잇의 위상이 더욱 더 발전해가고 있군요.

양목님 안녕하세요. 예 실체가 있는 블록체인3.0기술이 많이 있지 않으니까요. 앞으로도 더욱더 기대됩니다.

이런 저런 검색어로 구글 검색을 해 보면 스팀잇 글이 조금씩 보이기 시작하는 것 같습니다. 아직 티는 잘 안 나지만 올라오고 있다고 봅니다.

상승기류 밖에 보이지 않네요....

시간이 지나면 지날 수록
확장되어지는 모습이 참 기대되어집니다.

잘 보고 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