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사주 매입과 의미

in hive-140602 •  17 hours ago 

IMG_4350.jpeg

최근 미국 기업들의 자사주 매입에 대한 소식이 잦은 빈도로 노출되고 있습니다.

우선 사실관계를 확인해보면, S&P Dow Jones 집계를 기준으로 2025년 1분기에 자사주 매입 규모는 분기 누적기준으로 사상 최대치를 경신하였습니다.(발표 기준으로 집행기준 대비 통상 높은 수준)
2024년 4분기에는 $243.2B 로 전년대비 11% 증가하며 분기 사상 최고치를 기록 했었습니다. 2025년 1분기에는 주가가 조정되는 구간에서 자산주 매입이 공격적으로 확대되고 있습니다.
최근 3개월 누적 합계는 발표기준 대략 $550B 수준입니다.

자사주 매입의 의미와 그 효과

자사주를 매입하면 시장에 풀린 주식 수가 줄어들어서 주당순이익(EPS)가 인위적으로 상승합니다. 경영진이 자사주를 저평가된 자산으로 인식해서 현금을 투입했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또한, 배당과 함게 주주환원 방법 중 하나입니다. 이익잉여금을 활용해서 주주의 가치를 높이기도 합니다.

단기적으로는, 수요가 공급을 상회하게 되므로 주가는 지지를 받게됩니다. 시장에서 투자자의 심리가 개선됩니다. 특히, 대형주의 매입 소식은 투자 심리를 개선해서 전체 시장의 동반 랠리를 유도하기도 합니다.
하지만, 부정적인 의미를 가지기도 합니다. 내부에 적절한 투자처가 없다는 의미일 수 있습니다. 자사주 매입 이후 실적 전망이 부진하면 이후 주가는 하락 할 수 있습니다.

투자관점에서는, EPS가 개선되기에 밸류에이션을 재평가 할 수 있는 기회가 되기도 합니다. 시장의 타이밍 관점에서는, 분기 실적 발표 직후의 대규모 자사매입의 증가는 고점 매수 신호로 해석되기도 합니다. 주로, IT와 금융등 대형주 중심으로 자사주 매입이 많습니다.

자사주 매입의 규칙성

대부분의 S&P 500 기업은 사전에 승인된(repurchase authorized) 매입 프로그램을 유지하고 있고, 연중 정기적으로 집행하게 됩니다.
보통, 분기 실적 발표 직후 보유현금과 주가를 고려해서 대규모 매입을 공시하는 것으로 일반적입니다.

향후 시장의 움직임

자사주 매입의 강도가 높았던 시점 직후에 시장이 조정을 겪은 사례가 있습니다. 논리적으로 설명하자면 시장에 풀린 주식의 양이 적을수록 변동성, 즉 매도 압력에 취약해질 수 있다는 논리입니다.
단기호재로는 분명 가능하지만, 중장기적 관점에서는 경고음으로 해석될 수 있음을 인지해야 합니다.

2025년 1분기의 자사주 매입은 역대급으로 높은 수준입니다. 이에 따른 단기 투자심리는 긍정적으로 영향받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해당 금액은 발표 기준이며 실제 집행기준은 통상 이보다 낮은 1/4 수준으로 머무르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리고 분명 조정의 가능성이 있는 만큼 이에 따른 리스크 관리가 필요한 시점입니다.

Authors get paid when people like you upvote their post.
If you enjoyed what you read here, create your account today and start earning FREE STEEM!
Sort Order:  

image.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