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의 단상/250418] 관세 리스크 대응

in hive-124908 •  18 days ago 

[미국은 지금] 관세 리스크 대응 매뉴얼 (키움증권)

오늘은 관세 리스크에 대응하기 위한 산업별 전략에 관한 리뷰를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관세 리스크에 대응하기 위한 산업별 전략

관세 불안감을 이겨낼 수 있는 핵심 동력은 “안정적 현금 흐름”이다. 해당 조건에 부합하는 산업은 1)수도/천연가스 유틸리티, 2)통신타워 리츠, 3)담배 등으로 안정적 현금 창출 능력과 높은 배당, 가격 전가 능력 등이 강점으로 꼽힌다. 반대로 건강보험 및 의류/식료품 소매 산업의 경우 유의할 필요가 있다. 정부 지원과 선매수 효과로 관세 노이즈 속에서 긍정적 수익성을 보였지만, PBM 규제 및 소비절벽 등의 부정적 변수가 남아있기 때문이다.

일관성이 사라진 트럼프의 관세 정책과 변화하는 분위기

트럼프의 상호 관세 정책은 시간에 따라 많은 변화가 진행되고 있다. 중국을
제외한 57 개국에 대한 관세는 90 일 유예됐지만, 중국 대상 관세율은 최고 245%까지 높아졌다. 휴대폰, 노트북 등의 전자제품에 대한 품목 관세는 2일만에 예외 결정이 번복되었고, 25% 자동차 부품 관세는 연기 가능성이 시사되었다. 집권 초 관세 정책에 예외는 없음을 강조하던 트럼프가 미국채 금리 급등 및 월 스트리트의 경기 침체 우려 경고를 점차 수용하며 관세 정책의 일관성이 조금씩 훼손되고 있다.

관세 정책으로 인한 미국의 소탐대실?

미국은 그동안 '달러'의 기축통화 지위를 이용해 무제한 지출을 누려왔다.
재정 적자를 국채 발행으로 보충하면 되기 때문이다. 하지만 트럼프의 관세 정책이 되려 미국 달러에 대한 글로벌 신뢰를 훼손하면 미국이 기축통화의 특권을 잃는 '소탐대실'의 결과로 이어질 수 있다. 최근 위험회피 심리에서도 달러가치가 하락하는 것은 소탐대실의 불안을 더욱 키우고 있다.

관세 정책 향후 경로와 연준 풋(Fed Put)의 관계

트럼프의 관세 정책은 미국과 중국 모두에게 부담을 주는 상황이며, 실제 경제지표(하드데이터)가 침체를 보이기 시작하면 빠르게 수정될 가능성이 높다. 특히 연준의 완화적 조치(연준 풋)는 관세 충격을 막는 보험이 아니라, 오히려 금융시장 위험을 줄이기 위한 대응일 뿐이다. 따라서 만약 세수 부족이나 부채한도 협상 지연 등으로 단기 금융시장에 문제가 생기면, 트럼프 정부는 경기 침체를 피하기 위해 예상보다 빨리 관세 정책을 완화하거나 중단할 가능성이 높다.

최근의 미국채 금리 금등과 경기침체 우려 경고 등은 트럼프의 관세정책 일관성을 훼손시키고 정책 경로를 변경시키는 동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은 것 같습니다.
또한 세수부족,부채한도 협상 지연 등 단기 금융시장 이슈,이벤트가 발생하면 경기침체를 피하기 위한 관세정책 완화 혹은 중단, 금리인하 등의 특단의 조치가 필요할지도 모를 상황인 것 같습니다.
과연 트럼프의 극단적 처방은 경기 침체라는 최악의 상황을 피하게 될지 관심이 집중되고 있습니다.
내일은 보다 자세히 현 상황 및 대안들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오늘 하루도 활기찬 하루들 되시기 바랍니다.~

Authors get paid when people like you upvote their post.
If you enjoyed what you read here, create your account today and start earning FREE STEEM!
Sort Order:  

image.png

Congratulations, your post has been upvoted by @nixiee with a 41.351369713361876 % upvote Vote may not be displayed on Steemit due to the current Steemit API issue, but there is a normal upvote record in the blockchain data, so don't wor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