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의 단상/250504] 변화된 세상, 변화된 투자전략 (신한투자)#6

in hive-124908 •  2 days ago  (edited)

오늘도 어제에 이어 리뷰를 이어가 보도록 하겠습니다.


기술혁신의 Next stage

관세 전쟁 ⇨ 제조업 전쟁
1)경제적 해자, 2)생산성 개선

최적의 효율적 공급망을 통해 고성장-저물가저금리-신용팽창을 조성했던 세계 경제, 금융질서의 변화는 불가피
높아진 실효관세율, G2 분쟁으로 야기된 공급불안은 향후 인플레이션 잔존 압력을 높이는 요인으로 작용할 전망

세상에는 뭐든 동전의 양면이 존재하는 것 같습니다.
향후 이러한 흐름은 1)경제적 해자 보유 기업과 2)생산성 개선에 성공한 기업과 국가의 상대 우위를 점하는 요소로 작용할 수 있겠습니다. 또한 국가 주도의 첨단 산업으로의 기술개발과 AI 주도의 생산성 개선 속도는 더욱 가팔라질 전망인 것 같습니다.

제조업 + 기술 전쟁의 시작
제조대국 한국의 부족한 혁신

제조업 전쟁에서 생존하기 위해서는 1)범용이기보다 경제적 해자 혹은 지식재산권(IP) 독보적 우위 선점 위한 기술 혁신,
2)생산성 개선 필요.

한국은 제조업/GDP 비중이 높은 가운데 여전히 글로벌 점유율이 낮고 기술혁신과 R&D가 부진한 상황이라 볼 수 있겠습니다.

한국의 GDP 대비 R&D 비율이 가장 높은 것은 특기할 만 한 것 같습니다. 하지만 여전히 제조혁신지수/산업경쟁력 지수 측면에서는 대만과 유사하거나 낮은 수준이라 하겠네요.(이제는 중국이 비교대상이 아니라 대만이 비교대상이 되고 있습니다.)

기술혁신에서도 규모의 한계
한국 R&D의 상대적 우위와 절대적 열위

한국 기술혁신(R&D)은 경제규모와 주식시장에서의 기업매출의 상대적 관점에서 우위 유지. 하지만 절대적 레벨에서는 미국, 중국, 유럽, 일본 대비 상대적 열위. 정부주도의 성장 동력과 무역분쟁 위험도도 높음. 이뿐 아니라 IT 산업을 제외한 나머지 산업에서 범용에서 고부가가치로의 이동이 더딤. 이는 중국 및 신흥국가로의 제조업 우위를 상실하게 하는 핵심 배경이 됨

중국은 산업재>IT순, 한국/대만은 IT가 가장 높은 산업생산 총액을 보여주고 있네요.

내일은 기술혁신과 산업혁명, 그리고 주식시장에 관하여 리뷰를 이어가 보도록 하겠습니다.

오늘 하루도 편안한 휴식과 함께 하시기를 바랍니다.~

Authors get paid when people like you upvote their post.
If you enjoyed what you read here, create your account today and start earning FREE STEEM!
Sort Order:  

image.png

Congratulations, your post has been upvoted by @nixiee with a 42.08450219472603 % upvote Vote may not be displayed on Steemit due to the current Steemit API issue, but there is a normal upvote record in the blockchain data, so don't wor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