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의 단상/250505] 변화된 세상, 변화된 투자전략 (신한투자)#7

in hive-124908 •  yesterday  (edited)

오늘도 어제에 이어 리뷰를 이어가 보도록 하겠습니다


기술혁신과 산업혁명, 그리고 주식시장
50년 주기 산업혁명, 20년 주기 기술혁신, 15년 주기 주식시장

이야기는 다시 산업혁명 사이클로 넘어왔네요.

산업혁명은 50년 주기로 반복. 이는 정보통신 기술뿐 아니라 에너지, 모빌리티 혁신 모두가 융합된 형태로 진행. 첨단기술의 개발과
침투율 확대에는 통상 20년, 주식시장은 동 과정에서 15년 주기 기술주 주가 파동을 반복
현재의 산업파동은 50년주기 장기파동의 상승에서 AI, Green Energy, Mobility의 기술혁신(R&D)에서 투자와 침투율 확대로 진행 중

기술혁신의 반복된 규칙성
기술개발(R&D)⇨ 설비투자(CapEx)⇨ 공급과잉+경쟁심화(가격 하락)⇨ 침투 확대(생산성 개선)

기술혁신의 침투율 확대 과정은 주식시장 장기 랠리로 진행. 초기 단계에서의 기술개발(R&D)과 투자(Infra+Capex)가 진행 ⇨ B2B Infra+CapEx는 정부 보조금과 기업 과잉 투자와 경쟁에서 저항을 맞음. 1) 공급과잉, 2) 경쟁심화, 3) 기술 혁신의 한계 ⇨ 가격하락
가격 하락은 침투율 확대의 동인. 동 과정에서 H/W Device의 교체와 S/W의 본격적 성장 구도가 형성 ⇨ 침투율 확대, 생산성 개선

기술혁신의 침투율 확대 과정은 주식시장의 장기 랠리로 진행된다는 점을 눈여겨 봐야 할 것 같습니다.
Infra+CapEx 투자는 공급과잉 및 가격하락을 부르고 이는 다시 침투율 확대 및 생산성 개선으로 이어지는 선순환 사이클을 이루게 되는 것 같습니다.

반독점의 저항은 Deepseek로 시작
빅테크의 AI 생태계 독점에 글로벌 규제 심화

M7 시총 비중은 지속 상승중에 있으나 규제 측면에서의 유럽의 움직임 그리고 Deepseek 등 반독점 저항 움직임이 함께 동반되고 있다고 봐야 할 것 같습니다.

결론: 주도산업의 변화

결론 부분입니다.
지난 몇개월전 리포트에서도 유사한 결론에 도달한 것으로 보입니다만 크게 에너지/제조업 및 첨단기술/소비 및 헬스케어 측면에서 패권을 수성하는 미국과 도전하는 중국의 거대 양대 시장의 흐름을 살펴볼 필요가 있겠습니다.

에너지 측면에서는 역시 ESS의 부각, 전력 투자로 수급개선, 자원과 제조업의 수직계열화 등을 살펴봐야 할 것 같습니다.
다음으로 제조업/첨단기술 측면에서 미중분쟁>공급망 재편>기술혁신 사이클을 이해해야 할 것 같고, 향후 공급망 과잉의 최종 경로를 거쳐 침투율 확대와 생산성 개선이 이루어지는 모습을 예상해 볼 수 있겠습니다.
이 과정에서 아무래도 다시한번 이어지는 기술주 사이클의 도래를 기대해 봐야 할 것 같습니다.
마지막으로 소비/헬스케어 측면에서는 (주로 중국시장 측면으로 이해되는데) AI 침투/양극화 사회에서 생명연장 욕구, 소득격차 확대, 힐링/웰빙 시장 성장 등의 키워드로 변화된 사회의 모습을 살펴보아야 할 것 같습니다.

따라서 직관적 판단을 해보면 패권 갈등을 통해 단기적으로는 공급망 불안과 에너지 쇼크, 주식시장 쇼크 등 다양한 갈등의 이면이 발생할 수 있겠으나 크게 50년 주기 기술발전 사이클을 바라보고 접근한다면 결국 기술발전의 후반부에는 산업 침투율 확대와 생산성 개선이라는 커다란 진보를 이뤄낼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봐야 할 것 같습니다.
이에 대응하는 투자자의 입장은 우선 기술발전에 따른 주도산업의 변화 양상을 잘 파악해 볼 필요가 있겠고 항상 분산투자 및 바벨전략을 통해 균형감있는 포트폴리오를 유지하는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오늘 하루도 편안한 휴식과 함께 하는 휴일 하루들 되시기 바랍니다.~

Authors get paid when people like you upvote their post.
If you enjoyed what you read here, create your account today and start earning FREE STEEM!
Sort Order:  

image.png

Congratulations, your post has been upvoted by @nixiee with a 42.08450307506809 % upvote Vote may not be displayed on Steemit due to the current Steemit API issue, but there is a normal upvote record in the blockchain data, so don't wor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