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20(일)말이 되는 역사26. 사소한 것에서 틀어졌다.

in hive-143843 •  16 days ago  (edited)

가장 오래된 지리서인 <산해경>의 <해내동경>편에는
강이 몇 개 등장하는데 그중에 요수가 있다.

潦水(요수)는 위고(衛皋) 동쪽에서 나와 요새 밖 위고산(衛皋山)에서 발원한다. 현토군(玄菟郡) 고구려현(高句驪縣)에 요산(潦山)이 있는데, 소요수(小潦水)가 여기서 나온다. 서하(西河)[注, 대요수(大潦)다. '료(요)遼'라고 읽는다.] 동남쪽으로 흘러 발해(渤海)로 들어간다. 요양(潦陽)현으로 들어간다. 요양현(潦陽縣)은 요동(潦東)에 속한다.

이 기록이 담긴 그 페이지에는 오직,
산서성 남부에 있는 강들만 들어있다.

그런데
6세기에 저술된 <수경주 권14>에서

"대요수(大遼水)는 새외(塞外)의 위백평산(衛白平山)에서 발원하여,
동남쪽으로 새(塞)로 들어가며, 요동(遼東)의 양평현(襄平縣) 서쪽을 지난다."
라는 기록을 남긴다.

모두가 알다시피 '요동'은 사활을 건 요충지였다.
당나라에게 고구려가 망하고, 발해도 사라지고
마침내 대륙의 역사가 현재의 백두산까지 확장되면서
이 '요동(遼東)'이
지금의 랴오닝성 요양으로 움직여버렸다.

그 과정에서
우리 조상들은
지금의 우리처럼
역사에 관심없고
그저 주어진 책에 적힌대로 그 안에서 지지고 볶으며
어떻게든 고구려와 발해의 역사를 꿰맞추려고 대수술을 한것이다.

감히,
고조선과 고구려가 지금의 하북성 일대에 있었을 거라고는
상상도 할 수 없었을 공자의 신도들이나
일제가 만들어준 교과서를 달달 외우는 우리들이나
뭐가 다를까..

Authors get paid when people like you upvote their post.
If you enjoyed what you read here, create your account today and start earning FREE STEEM!
Sort Order:  

image.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