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lobal 주요국의 경제지표와 현안steemCreated with Sketch.

in kr •  5 days ago 

포스팅이미지.png
ECB(European Central Bank, 유럽중앙은행)측은 경기둔화에 따른 금리인하를 강조하나 일부는 인플레이션을 우려한다. 중국의 소비자 및 생산자 물가가 하락한다. 한편 일본은 금리인상 지속을 추구한다. 그리고 금년과 내년 Global 원유수요 전망을 낮춘다. 관련 내용을 간략히 살펴본다.

  • ECB 금리인하 여부

ECB 주요 인사인 렌 위원은 경제성장의 하방위험이 커지고 있어 통화정책회의에서 금리인하의 근거가 강화되고 있다고 주장한다. 다만 놋 위원은 美정부의 관세부과가 물가상승 압력을 높일 수 있어 정책결정을 서두를 필요가 없다는 입장이다.

  • 역내 은행권 기업대출

ECB의 설문조사에 따르면 향후 경제전망에 대한 우려가 증폭되고 있어 올해 1/4분기 역내 은행권의 기업대출에 보다 엄격한 기준을 적용한바 특히 미국의 무역정책으로 전 세계적인 혼란이 발생하여 대출증가 가능성은 제한적일 것으로 예상한다.

  • 4월 獨경기기대지수

독일의 올해 4월 ZEW 경기기대지수가 −14.0으로 전월(51.6)대비 큰 폭 하락하여 21개월 만에 최저를 기록한바 이는 미국發 무역葛藤(갈등) 우려 등이 반영되면서 주요 경제주체의 심리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는 때문이다. 특히 제조업 비중이 높은 독일이 큰 타격을 받을 수 있다는 점도 반영한다.

  • 伊국가신용등급

S&P가 경제·금융의 완충(緩衝)기능 개선을 반영하여 이탈리아(伊) 신용등급을 BBB에서 BBB+로 상향조정하고 등급전망도 「안정적」으로 제시한다. 이는 세계적인 역풍 가운데 이탈리아 경제 및 대외 금융부문의 완충기능 개선, 재정안정을 위한 노력 등이 반영된 때문이다.

  • 3월 英취업자 수

영국(英)의 3월 취업자 수는 전월대비 7.8만 건 감소하고 취업률은 75.1%로 정부의 목표치 80%에 미달하고 올해 1~3월 구인건수 역시 전월대비 줄어든 78.1만 건을 기록한다. 이러한 결과들은 고용여건이 부정적 상황임을 시사(示唆)한다.

  • 3월 中인플레이션

올해 3월 소비자물가지수는 전년 동월대비 0.1% 떨어지고 생산자물가지수도 전년 동월대비2.5% 하락한다. 시장에서는 디플레이션 압력이 여전하며 세계무역 갈등으로 수출이 부진할 경우 이 추세는 심화될 수 있다고 경고한다(Capital Economics). 골드만삭스는 금년 中성장률 전망을 하향조정(4.5%→4.0%)한바 이는 미국이 對中관세를 계속해서 높이고 있음을 반영한 때문이다. 한편 中인민은행은 주요 국영은행에 위안화의 과도한 약세를 막기 위한 의도로 달러화 매입을 축소하도록 권고한다.

  • 3월 中수출실적

올해 3월 中수출실적이 3,139.1억 달러로 전년 동월대비 12.4% 증가하고 수입은 4.3% 감소한 2,112.7억 달러를 기록하고 동월 위안화 신규대출도 확대된다. 특히 수출이 예상과 달리 큰 폭 증가한바 시장에선 美관세의 본격 시행을 앞두고 수요가 크게 증가한 때문으로 평가한다.

  • 3월 中사회융자총량

올해 3월 사회융자총량은 5.89조 위안으로 전년 동월대비 1.06조 위안 늘고 동월 위안화 신규대출 또한 3.64조 위안으로 전년 동월대비 0.55조 위안 증가한다. 이는 中당국의 경기부양 의지가 반영된 것으로 분석한다.

  • 日기대 인플레이션

일본은행(Bank of Japan) 올해 3월 소비자 조사에서 식품가격 상승 등의 영향으로 1년 후 인플레이션(연율)이 오를 것이라고 응답한 비율은 86.7%로 전월(85.7%)대비 상승하고 이는 작년 6월 이후 최고치이다. 5년 후 인플레이션이 올라갈 것으로 응답한 비율도 83.5%로 작년 9월 이후 최고수준을 기록한다.

  • 日금리인상 지속

일본은행 우에다 총재가 경제전망 현실화 시 즉 경제성장률과 인플레이션 등의 전망이 예상에 부합한다면 금리인상을 지속하며 최근 미국의 관세정책으로 경제적 불확실성이 크게 증가한 점을 경계한다.

  • Global 원유수요 전망

OPEC(석유수출국기구)이 최근 트럼프發 관세전쟁으로 세계무역 관련 불확실성이 증폭하여 Global 원유수요 전망을 하향한다. 금년과 내년 전 세계 원유수요가 일일 130만 배럴 증가할 것으로 예상한다. 이는 이전 대비 약 15만 배럴 줄어든 수준이다. 그리고 국제에너지기구(IEA)가 Global 무역전쟁 등을 반영하여 금년 석유수요 전망을 하향한다(일일 103만→73만 배럴 증가). Global 무역전쟁 심화 등이 수요의 감소를 초래할 것으로 예상한다. 아울러 유가하락이 채산성이 낮은 산유국의 생산을 제한할 것으로 전망한다.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Authors get paid when people like you upvote their post.
If you enjoyed what you read here, create your account today and start earning FREE STEEM!